문신의 대표작 100여점 다시본다
[서울신문]생명과 우주의 원리를 작품 속에 담아낸 세계적인 조각가 문신(1923∼1995). 그의 10주기를 맞아 대규모 회고전이 마련됐다.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문신 추모전에는 흑단(黑檀)조각을 비롯해 석고원형, 드로잉, 불빛조각 등 대표작 100여 점이 나와 있다.
흑단은 색이 검어 오목(烏木)으로도 불리는 감나무과의 상록 교목. 재질이 단단해 물에 가라앉을 정도이며 광택이 좋아 예부터 조각의 재료로 사용돼 왔다.
흑단을 자르고 파낸 뒤 윤이 나도록 문질러 만든 흑단조각은 문신의 조각작품을 대표한다. 나무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금속성을 보여주는 그의 흑단조각은 도시적 세련미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석고원형은 브론즈 조각이 주조되기 전 첫 단계로 만들어지는 작가의 체온이 담긴 작품으로 주목된다. 마산시립문신미술관에서 전등을 달아 밤하늘을 밝혔던 불빛조각은 가나아트센터 야외전시장으로 옮겨져 빨강·노랑의 화려한 색채미학을 연출한다.
1960∼70년대 파리를 주무대로 활동한 문신은 균제미, 즉 시메트리(symmetry)의 대가로 꼽힌다. 그의 작품은 좌우대칭의 세계를 지향하나 절대적 대칭은 아니다. 동양정신에서 대칭은 정적의 의미, 그리고 정적은 움직임이 없는 무생명을 뜻한다.
문신은 이같은 대칭 속에 비대칭을 끼워 넣음으로써 동적인 감각을 살려낸다. 자연의 생명력을 대칭과 비대칭의 절묘한 조화로 풀어내고 있는 것이다. 문신의 작품은 기하학적 추상조각이지만 곤충이나 새, 꽃 등을 연상케 한다.
작가라면 누구나 마찬가지이겠지만 문신의 작품은 단연 장인적인 노고의 산물이다. 문신은 작가노트에 “나는 노예처럼 작업하고, 서민과 함께 생활하고, 신처럼 창조한다.”라고 적고 있다. 고인의 부인인 최성숙(60)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장은 “사람을 만나거나 놀러다니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홀로 예술의 삼매경 속에 살고 있을 뿐이었다.”고 생전의 남편 모습을 회고했다. 전시는 24일까지.(02)720-1020.
[출 처 : 서울신문 김종면 기자 2005.04.04.]
[링 크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81&aid=00000376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