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마산역사
오늘의 마산포가 출현된 것은 조선중기 이후 18대 현종 4년 1663년 대동법이 시행됨에 따라 낙동강 하류 유역 13군의 조공미를 서울로 조운하는 격납고인 조창이 설치됨으로써 이 일대에 공관과 민가가 순식간에 중성리·동성리·오산리·서성리·성산리·성호리 등 6개리로 형성되면서 오늘날의 마산의 기반이 이루어지면서이다.
공관과 민가가 번성을 이루면서 한 때 전염병으로 많은 희생이 생기자 이 재해를 면하기 위하여 마산이라 개칭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馬山'의 유래라 하기도 한다. 또는 마산이란 명칭은 고려시대에는 보이지 않고 『신증 동국여지승람』 창원도호부조에 합포와 아울러 마산포란 명칭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현 마산시 지명이 여기서 유래된 것이 아닌가 하기도 한다.
조선 말 광무 3년인 1899년 5월 1일 마산포는 개항장으로 발족되고 창원감리서가 설치되어 외교사무와 지방행정을 관장하고 또한 각국 거류지제가 설치됨에 따라 일본 영사관이 설치되었다. 1906년 영사관은 이사청으로 개편되고 1914년 부제실시로 마산부가 되었으며 1945년 광복 후 1949년 6월 29일 개항장으로 지정되고 그 해 8월 15일 부로 마산시가 되었다.
그 후 2010년 7월 1일부로 창원시로 통합되면서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로 나뉘었다.
연혁
- 676년 : 신라 문무왕 16년, 골포현이 되고 굴자군 (지금의 창원)에 속함
- 757년 : 신라 경덕왕 16년, 굴자군이 의안군으로, 골포현은 합포현으로 개칭됨
- 1018년 : 현종9년, 의안군과 합포현이 금주(지금의 김해)에 소속됨
- 1274년 : 원종15년, 합포에 정동행성을 설치, 여몽연합군 일본 원정
- 1282년 : 충렬왕8년, 의안은 의창으로, 합포는 회원으로 개칭, 각각 현령을 둠
- 1408년 : 태종8년, 의창현·회원현을 창원부로 통합
- 1415년 : 태종15년, 창원도호부로 개칭
- 1601년 : 선조34년, 창원대도호부로 승격
- 1661년 : 현종2년, 창원현으로 강등
- 1670년 : 현종11년, 창원대도호부로 환원
- 1899년 : 마산포개항, 창원감리서 개설, 각국 영사관부지및 외국조계지 확정
- 1914년 : 마산부 설치
- 1949년 : 마산시로 개칭
- 1980년 : 창원시 분리
- 1989년 : 합포·회원출장소 설치
- 1990년 : 합포구와 회원구 승격 설치
- 1991년 : 마산시의회 재구성, 새 시청사 준공
- 1995년 : 창원군 5개(진전,진북,진동,구산,내서) 면을 통합한 통합 마산시 출범
- 2000년 : 12월 31일 구청폐지
- 2010년 : 7월 1일 창원시로 통합
사진으로 보는 역사갤러리
-
신마산부두
-
마산 3.15의거
-
50년대 마산극장
-
4.19합동미사
-
마산선창방파제
-
마산수출자유구역
-
석전동 개발현장
-
서성동 분수로타리
-
마산가포해수욕장
-
석전, 양덕동 일대 번화가
-
산호교 확장모습
-
99년도 마산항
- 페이지 담당자
-
- 문의전화 : 055-225-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