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남저수지 소개

주남의 기능

농업용수의 공급

주남저수지의 총유역면적은 8,640ha 이다. 강우 시 연 300만㎥ 의 수원이 유입되며 주남배수장을 통해 농수로에서 약 200만㎥가 유입되며, 일부 농경지 및 과수원의 농업용수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홍수조절

주남저수지와 산남저수지의 경우 평균수위는 1.5m이며 만수위는 4.32m, 계획 저수량은 6,423,000㎥이다. 이는 홍수 시 초과되는 수량을 축적하는 저수지 역할과 주변 식물들이 물의 흐름을 지연시켜 수량의 극심한 변화를 막아 홍수발생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주남저수지 전체는 서로 수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산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에는 낙동강으로 자연 배수되어지는 주천이 연결되어 있으나, 낙동강 본류의 수위상승에 의하여 매년 자연배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각 지점별로 위치한 배수장에서 양수하여 주남저수지 및 동판지에 연결한 후 저류로 방류 되어지고 있다.

생태적 기능

주남저수지 이미지

주남저수지는 겨울철에 100여 종 이상의 새와 하루 평균 개체수 1만~2만 이상이 관찰되는 곳으로서 겨울철 수금류의 주요 월동지 및 여름철새 백로류와 같은 새들의 휴식, 채식장소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국제자연보존연맹의 적색자료목록에 올라 있는 가창오리가 연간 약 1만~2만 개체 이상 도래하는 곳으로 람사르협약의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는 국제적으로 주요한 철새도래지이다. 식물은 33목, 69과 233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식물로 선정된 가시연꽃 군락지를 비롯하여 줄 군락, 생이가래 군락, 물억새 군락, 연꽃군락, 노랑어리연꽃 군락, 갈대 군락, 물피 군락, 창포군락, 버드나무군락, 물옥잠군락, 마름, 붕어마름군락 등이 우점군락으로 형성되어 있다. 곤충상은 170여 종(수서곤충 포함)이 넘으며 이는 생태계 2차 소비자인 어류나 양서류의 먹이가 되어 생태계 구조의 최종소비자로 구분되는 조류에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고 있다.

심미적기능(문화적기능)

람사르문화관 이미지

주남저수지는 2008년 람사르총회 개최지였던 창원시에 위치하여 인접 도시와 전국에서 연간 50만 명이 넘는 탐방객이 찾고 있다. 또한 우수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천연기념물 제164호로 지정된 엄나무, 삼한·삼국시대의 대표적 분묘유적인 다호리 고분과 신석기시대의 합산패총, 주남돌다리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재를 가지고 있으며, 동읍과 대산면 일대의 농경지역과 저수지를 바탕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문화도 접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습지 생태계의 기능은 인간 사회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그 자원도 인간 사회에 각종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주고 있다. 가축의 사육이나 수렵, 어업, 농업 등을 행하는데, 특히 개발 도상국에서는 습지와의 경제적인 연결이 강하여 많은 사람들이 자연 습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생활하고 있다. 경제적으로 발전된 국가도 그만큼 직접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는 해도 다양한 형태로 습지의 기능을 이용하고, 자원을 향유하고 있으며 어느 사회에서도 습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습지의 기능이 악화되거나 자원이 감소하거나 하면 커다란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그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 막대한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 주며, 습지를 파괴하는 개발에 있어서는 마이너스 효과로서 나타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인간사회에 생물 자원이 커다란 경제 가치를 가지는 것은 습지가 많은 야생생물의 생활을 지탱해 주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종이나 생물 다양성의 보전에 있어서도 습지는 매우 중요한 환경이다. 물은 생명을 유지하는데에 불가결한 것이어서 습지를 동반한 환경에는 많은 생물이 보이며, 어류 등 수생 생물은 물론이고 물새 등 육지생물도 습지에 적응하여 살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 호소나 하천들은 불연속으로 분포하여 거기에 사는 생물은 이동이나 분산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그만큼 떨어져 있지 않아도 각각 고유의 생물종이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것은 또 생물 다양성의 정도가 각각의 지점마다 낮은 경우라도 이러한 습지를 몇 개 포함하는 지역에서 보면 높게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구지역은 풍부한 영양이 하천이나 주변 식생이나 바다로부터 모여 식생이 동물의 서식처나 피난 장소가 되는 물리적인 기능을 동반하고, 야생생물에게 있어서의 중요한 생식 환경이 형성된다. 어패류에는 치어, 어린 게등 어린 시기만 거기서 보내는 것도 많이 보인다. 도요새, 물떼새류나 오리류 따위의 이동을 하는 물새에 있어서는 이동 도중의 채식지나 휴식지로 이용하는 생식지의 일부로서 중요한 장소이기도 하다.

문의전화
민원콜센터 ( 1899-1111 )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