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제27조의2 제3항의 규정에 의거 사회복지시설의 평가결과 공개

  • 평가대상시설 : 사회복지관 6개소, 노인복지관 7개소, 양로시설 2개소
  • 평가대상기간 : ‘21. 1. 1. ~ ’23. 12. 31.
    ※ ’22년에 현장평가를 실시한 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관은 2년(2022~2023년) 적용
  • 평가주체 : 보건복지부

노인복지관

개별시설 평가결과(가나다순)

연번,시도,시군구,시설명,평균 등급,평가 영역별 등급(시설및환경,재정조직운영,프로그램 서비스,이용자의권리,시설운영전반) 항목으로 노인복지관 평과결과 정보를 나타낸 표
연번 시도 시군구 시설명 평균 등급 평가 영역별 등급
시설및환경 재정조직운영 프로그램 서비스 이용자의권리 시설운영전반
1 경남 창원시 금강노인종합복지관 A A A A A A
2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노인종합복지관 A A C A A A
3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노인종합복지관 A A B A A A
4 경남 창원시 성산노인종합복지관 A A C A A B
5 경남 창원시 의창노인종합복지관 A A C A A A
6 경남 창원시 진해노인종합복지관 A A B A A A
7 경남 창원시 진해서부노인종합복지관 A A C A A A

평가결과 등급

등급,AB,C,D,F 항목으로 노인복지관 평가결과 등급 정보를 나타낸 표
등급 A B C D F
점수 90점 이상 80점 이상∼90점 미만 70점 이상∼80점 미만 60점 이상∼70점 미만 60점 미만

평가지표수 및 배점

평가영역,배점(%),시설 종류별 지표 수(개)(가형,나형,다형) 항목으로 노인복지관 평가지표수 및 배점 정보를 나타낸 표
평가영역 배점(%) 시설 종류별 지표 수(개)
가형 나형 다형
A. 시설 및 환경
  • 1. 시설이용의 안전성,
  • 2-1. 시설이용의 편리성-편의시설 설치,
  • 3. 시설이용의 쾌적성
5 3 3 3
B. 재정 및 조직운영
  • 1. 후원금, 2. 사업비, 3-2. 직원 충원율(가산점),
  • 4. 직원 근속률,
  • 5-1. 직원 교육활동비 및 내·외부교육 참여시간,
  • 5-2. 직원 교육활동비 및 내·외부교육 참여시간(2),
  • 6-1. 외부자원 개발, 6-2. 외부자원개발(2),
  • 7. 직원채용의 공정성,
  • 8-1. 시설장 및 최고중간관리자(부장)의 전문성,
  • 8-2. 시설장 및 최고중간관리자(부장)의 전문성(2),
  • 9. 직원교육, 10. 직원복지, 11. 직원의 인권 및 안전보장,
  • 12. 기관 운영 및 운영계획서의 실행정도
  • 13-2. 직원의 급여(보수)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2),
  • 14-1. 노인복지관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노력,
  • 14-2. 노인복지관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노력(2),
  • 14-3. 노인복지관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노력(3),
  • 14-4. 노인복지관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노력(4)
35 14 14 14
C. 프로그램 및 서비스
  • 1-1-1. 기본사업 계획의 전문성(상담),
  • 1-1-2. 기본사업 계획의 전문성(상담)2,
  • 1-2. 기본사업 운영평가(상담),
  • 1-3. 프로그램 수행과정 (상담), 1-4. 상담,
  • 2-1-1. 기본사업 계획의 전문성(노년 사회화 교육),
  • 2-1-2. 기본사업 계획의 전문성(노년 사회화 교육)2,
  • 2-2. 기본사업 운영평가(노년 사회화 교육),
  • 2-3. 프로그램 수행과정 (노년 사회화 교육),
  • 2-4. 노년사회화교육,
  • 3-1-1. 기본사업 계획의 전문성 (사회참여 및 권익증진),
  • 3-1-2. 기본사업 계획의 전문성(사회참여 및 권익증진)2,
  • 3-2. 기본사업 운영평가(사회참여 및 권익증진),
  • 3-3. 프로그 램 수행과정(사회참여 및 권익증진),
  • 3-4. 사회참여 및 권익증진, 4-1-1. 기본 사업,
  • 4-1-2. 기본사업 계획의 전문성 (지역자원 및 조직화)2,
  • 4-2. 기본사업 운영평가(지역자원 및 조직화),
  • 4-3. 프로그램 수행과정(지역자원 및 조직화),
  • 4-4. 지역자원 및 조직화,
  • 6-1-2. 기본사업 계획의 전문성 (사례관리)2,
  • 6-2. 기본사업 운영평가(사례관리),
  • 6-3. 프로그램 수행과정(사례관리),
  • 6-4. 사례관리 및 지역사회돌봄
45 20 16 12
D. 이용자의 권리
  • 1. 비멀보장,
  • 2 학대예방 및 인권보장,
  • 3. 고충처리,
  • 4. 이용자의 자기결정권
9 4 4 4
E. 시설운영 전반 6 4 4 4
총계 100 45 41 37

사회복지관

개별시설 평가결과(가나다순)

연번,시도,시군구,시설명,평균 등급,평가 영역별 등급(시설및환경,재정조직운영,프로그램 서비스,이용자의권리,시설운영전반) 항목으로 사회복지관 평과결과 정보를 나타낸 표
연번 시도 시군구 시설명 평균 등급 평가 영역별 등급
시설및환경 재정조직운영 프로그램 서비스 이용자의권리 시설운영전반
1 경남 창원시 경남종합사회복지관 A A A A A A
2 경남 창원시 내서종합사회복지관 A A A A A A
3 경남 창원시 마산종합사회복지관 A A B A A A
4 경남 창원시 자은종합사회복지관 A A C A A A
5 경남 창원시 창원시진해종합사회복지관 A A C A A A
6 경남 창원시 창원종합사회복지관 A A B A A A

평가결과 등급

등급,AB,C,D,F 항목으로 사회복지관 평가결과 등급 정보를 나타낸 표
등급 A B C D F
점수 90점 이상 80점 이상∼90점 미만 70점 이상∼80점 미만 60점 이상∼70점 미만 60점 미만

평가지표수 및 배점

평가영역,배점(%),시설 종류별 지표 수(개)(가형,나형,다형) 항목으로 사회복지관 평가지표수 및 배점 정보를 나타낸 표
평가영역 배점(%) 시설 종류별지표 수(개)
A. 시설 및 환경
  • 1. 시설이용의 안전성,
  • 2-1. 시설이용의 편리성-편의시설 설치,
  • 3. 시설이용의 쾌적성
5 3
B. 재정 및 조직운영
  • 1. 후원금, 2. 사업비, 3-1. 직원 충원율,
  • 4. 직원 근속률, 6-1. 외부자원개발, 6-2.외부자원개발(2),
  • 7. 직원채용의 공정성, 9. 직원교육, 10. 직원복지,
  • 11. 직원의인권 및 안전보장,
  • 12-2. 직원의 급여(보수)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2),
  • 3-2. 직원 충원율(가산점),
  • 5-1. 직원 교육활동비 및 내・외부교육 참여시간,
  • 5-2. 직원 교육활동비 및 내・외부교육 참여시간(2),
  • 8-1. 시설장 및 최고중간관리자(부장)의 전문성,
  • 8-2. 시설장 및 최고중간관리자(부장)의 전문성(2)
35 12
C. 프로그램 및 서비스
  • 1-1. 사례관리 실행체계, 1-2. 사례관리 인력의 전문성,
  • 1-3. 사례관리 수행의 전문성, 1-4. 사례관리 협력 연계,
  • 2-1-1. 프로그램 기획의 전문성(프로그램1),
  • 2-1-2. 프로그램 수행과정(프로그램1),
  • 2-1-3. 프로그램 평가(프로그램1),
  • 2-2-1. 프로그램 기획의 전문성(프로그램2),
  • 2-2-2. 프로그램 수행과정(프로그램2),
  • 2-2-3. 프로그램 평가(프로그램2),
  • 2-3-1. 프로그램 기획의 전문성(프로그램3),
  • 2-3-2. 프로그램 수행과정(프로그램3),
  • 2-3-3. 프로그램 평가(프로그램3),
  • 2-4-1. 프로그램 기획의 전문성(프로그램4),
  • 2-4-2. 프로그램 수행과정(프로그램4),
  • 2-4-3. 프로그램 평가(프로그램4),
  • 3-1. 지역조직화 실행체계,
  • 3-2. 지역조직화 수행의 전문성, 3-3. 지역사회 네트워크
45 19
D. 이용자의 권리
  • 1. 비멀보장,
  • 2 학대예방 및 인권보장,
  • 3. 고충처리,
  • 4. 이용자의 자기결정권
9 4
E. 시설운영 전반 6 4
총계 100 42

양로시설

개별시설 평가결과(가나다순)

연번,시도,시군구,시설명,평균 등급,평가 영역별 등급(시설및환경,재정조직운영,프로그램 서비스,이용자의권리,시설운영전반) 항목으로 양로시설 평과결과 정보를 나타낸 표
연번 시도 시군구 시설명 평균 등급 평가 영역별 등급
시설및환경 재정조직운영 프로그램 서비스 이용자의권리 시설운영전반
1 경남 창원시 애양원 A A B A A B
2 경남 창원시 창원성심양로원 A A A A A B

평가결과 등급

등급,AB,C,D,F 항목으로 양로시설 평가결과 등급 정보를 나타낸 표
등급 A B C D F
점수 90점 이상 80점 이상∼90점 미만 70점 이상∼80점 미만 60점 이상∼70점 미만 60점 미만

평가지표수 및 배점

평가영역,배점(%),시설 종류별 지표 수(개)(가형,나형,다형) 항목으로 양로시설 평가지표수 및 배점 정보를 나타낸 표
평가영역 배점(%) 지표 수
A. 시설 및 환경
  • 1. 시설이용의 안전성,
  • 2-1. 시설이용의 편리성-편의시설 설치,
  • 3. 시설이용의 쾌적성
10 3
B. 재정 및 조직운영
  • 1. 후원금, 2. 사업비, 3. 직원 충원율,
  • 5-1. 직원 교육활동비 및 내·외부교육 참여시간,
  • 5-2. 직원 교육활동비 및 내·외부교육 참여시간(2),
  • 6-1. 외부자원개발, 6-2. 외부자원개발(2),
  • 7. 직원채용의 공정성,
  • 8-1. 시설장 및 최고중간관리자(사무국장)의 전문성,
  • 8-2. 시설장 및 최고중간관리자(사무국장)의 전문성(2),
  • 9. 직원교육, 10. 직원복지,
  • 11. 직원의 인권 및 안전보장,
  • 12. 시설의 미션과 비전 및 중·장기 발전계획,
  • 13. 지역사회와의 연계활동
29 13
C. 프로그램 및 서비스
  • 1. 접수절차, 2. 욕구사정, 3. 사례관리, 4. 식사서비스,
  • 5. 건강검진 및 관리, 6. 건강관리 및 예방교육,
  • 7. 응급환자 관리, 8. 기능회복프로그램,
  • 9. 치매 예방과 치료 보호, 10. 여가프로그램,
  • 11. 특성화 프로그램, 12. 서비스 제공 결과
35 12
D. 이용자의 권리
  • 1. 비밀보장, 2 학대예방 및 인권보장, 3. 고충처리,
  • 4. 생활인의 자기 결정권, 5.생활인의 금전관리
20 5
E. 시설운영 전반 6 4
총계 100 37
문의전화
민원콜센터 ( 1899-1111 )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