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복지/식품

가정폭력상담

가정폭력은 가족구성원중의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의도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인학대를 통하여 고통을 주는 행위를 말합니다.

가정폭력이란?

  • 남편과 아내, 부모와 자녀, 형제자매 및 기타 동거가족을 포함한 가족구성원중의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의도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인학대를 통하여 고통을 주는 행위를 말합니다.
  • 가정폭력에서는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손상뿐만 아니라 자아 존중감을 해치는 언어폭력 성적학대 및 방임과 유기도 포함합니다.

현황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 상담센터 현황을 상담소명, 소재지, 대표자, 설립연월, 시설규모, 연락처, 비고순으로 안내
상담소명소재지대표자설립연월시설규모연락처비고
창원가정상담센터 성산구 창이대로 663번길 7 대한빌딩 401호 서정희 ‘99.11. 116 261-0280
마산가정상담센터 회원구 양덕옛3길5 심진섭 '99.1 52 296-9126~7
진해가정상담센터 진해구 태평로 50 BBS회관 2층 김동현 '00.5 65.76 551-2332

위기 상황에서의 대처 방안

  • 폭력행사 이전
    •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에 연락한다.
    • 다음의 것들을 준비한다.
      전화, 현금, 옷, 중요한 물품들, 아파트 임대계약서, 건강보험카드, 남편의 수입기록물, 피신처나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전화번호 목록, 신용카드, 은행통장과 기타 중요한 것
  • 폭력행사시
    • 자신을 방어하고 보호한다.
    • 도움요청 전화를 한다.
    • 계속해서 크게 비명을 지른다, 창피할 것이 없다, 창피한 것은 남자측이다, 도망간다, 가능하면 피신한다.
    • 경찰을 부른다.
  • 폭력행사 후
    • 즉시 치료를 받도록 합니다.
    • 피해기록을 작성하십시오.
    • 증거를 보존하십시오.
    • 누군가에게 당신의 피해사실을 말하십시오.
    • 행동하십시오.
  • 법적대응
    • 고소를 하려면 피해자 거주지 또는 피해발생지 경찰서에 고소장을 접수합니다.
    • 병원기록, 진단서, 상처부위의 사진, 목격자의 증거기록등을 첨부하여 접수합니다.
페이지 담당자
  • 문의전화 : 1899-1111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의 제공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